새에 대한 반성문
복효근
춥고 쓸쓸함이 몽당빗자루 같은 날
운암대 소롯길에 서서
날개소리 가득히 내리는 청둥오리떼 본다
혼자 보기은 아슴찬히 미안하여
그리운 그리운 이 그리며 본다
우리가 춥다고 버리고 싶은 세상에
내가 침 뱉고 오줌 내갈긴
그것도 살얼음 깔려드는 수면 위에
머언 먼 순은의 눈나라에서나
배웠음직한 몸짓이랑
카랑카랑 별빛 속에서 익혔음직한
목소리들을 풀어놓는
별, 별, 새, 새, 들, 들, 본다
물 속에 살며 물에 젖지 않는
얼음과 더불어 살며 얼지 않는 저 어린
날개들이
건너왔을 바다와 눈보라를 생각하며
비상을 위해 뼈 속까지 비워둔 고행과
한 점 기름기마저 깃털로 바꾼 새들의
가난을 생각하는데
물가의 진창에도 푹푹 빠지는
아, 나는 얼마나 무거운 것이냐
내 관절통은 또 얼마나 호사스러운
것이냐
그리운 이여,
네 가슴에 목 박혀 삭고 싶은 속된 내
그리움은 또 얼마나 얕은 것이냐
한 무리의 새떼는 또
초승달에 결승문자 몇 개 그리며
가뭇없는
더 먼 길 떠난다 이 밤사
나는 옷을 더 벗어야겠구나
저 운암의 겨울새들의 행로를 보아버린
죄로
이 밤으로 돌아가
더 추워야겠다 나는
한껏 가난해져야겠다
'저 운암의 겨울새들의 행로를 보아버린 죄로 이 밤으로 돌아가 더 추워야겠다 나는 한껏 가난해져야겠다.'
알아버린 것이 죄라면,
더 추워야 하고 더 가난해져야 한다.
알아버린 죄!
알아버린 죄!
시인은 알아버렸기에 그 아픔 속으로 다시 들어가야 한단다.
아프고 가난한 것이 혼자가 아니다.
기름기 한 방울 조처 깃털로 만들어 날아 날아 가고 있는 철새들을 보면
내 몸에 목아 지방이 되고 있는 기름기를 민망해가며
좀 걸었다고 시끈거리는 관절을 민망해가며
맘껏 투털거릴 수 없음은 알아버린 죄이다.
눈을 감고 귀를 막고 세상 것을 몰랐어야 했을지도 모른다.
알아버린 것이 죄라면,
그것이 죄라면 더 춥고 가난해질 수 밖에.
그렇게 형량을 채울 수 밖에.
김영갑작가의 사진집을 보다가,
바람이 부는 마라도를 보다가
무꽃 만발한 어느 들판의 바람을 보다가
복효근 시인의 시집을 손에 들었다.
그리고 이 시가 나의 눈에 들어왔다.
박태기나무에서 꽃이 피려한다.
알아버렸다.
그것이 죄가 되었다.
좀 더 추워야한다. 좀 더 가난해져야한다.
박태기나무에서 꽃이 피려하는 것을 보았고, 알아버렸다.
'읽히는대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따비오 빠스]태양의 돌 (0) | 2006.05.04 |
---|---|
[윤희상]농담할 수 있는 거리 (0) | 2006.05.03 |
[백석] 멧새소리 (0) | 2006.04.06 |
[안도현]옆모습 (0) | 2006.04.06 |
[장정일]아파트 묘지 (0) | 2006.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