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절거림

업무일지-9 : 한자 속 과학 이야기

by 발비(發飛) 2007. 6. 26.

나에겐 참 오래간만에 전공서적을 보는 듯 기억이 새록새록나면서 ...

최종교정을 보는 동안 재미있었다는... 익숙함이란! 정말 !

이 책을 교정보고 난 뒤 좀 더 강화된 나의 버릇을 오늘 회의 중에 발견했다는...

난 다시 한자로 낙서를 시작했다는 것,

한자는 낙서하기에 진정 멋진 소재이다.  

오늘은 좀  난감했던 것이 한자가 기억이 나지 않았다는 것이지만 그래도 이 책의 영향인 듯 싶다.

난 그랬다.

 

 

신간보도자료

 

『한자 속 과학 이야기』

 

담당 ***| binaida01@hanmail.net

신국변형판| 356쪽|13,500원| ISBN 978-89-5624-288-0(03720)

초판 1쇄 인쇄 2007년 6월 25일 초판 1쇄 발행 2007년 6월 29일

-------------------------------------------------------------------------------

 

책명 『한자 속 과학 이야기』|지은이 다이우싼(戴吾三) 옮긴이 천수현

 

‘한자의 역사 속에 살아 숨쉬는 과학기술의 유래’

 

 

 

 

 

『한자 속 과학 이야기』는...

 

중국의 한문학자인 ‘다이우싼’이 『고사성어 속 과학』에 이은 한자 속에서 과학 찾기 시리즈 중 한 권이다. ‘다이우싼’은 한자의 시작인 상형문자에서 각종 도구들의 쓰임새를 발견하고, 도구들의 발전상과 더불어 한자가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쓰고 있는 도구의 종류를 중심으로 그 해당한자를 풀이하면서 도구의 발생과정, 재료, 발전과정, 그리고 도구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과 물과 같은 자연과의 만남에도 한자의 발전과정과 맞추어 인간이 자연을 대하는 시선의 변화를 읽어내고 있다.

 

 

지은이가 전하는 말...

 

한자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상형문자 다 상형문자는 옛사람들의 지혜의 상징이며 자연의 형태와 사물을 인위적으로 간략화한 그림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형문자는 옛사람들이 관찰과 사고를 통해 객관적인 사물을 간략하게 묘사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형문자를 분석해보면 고대 사람들의 자연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자연을 이용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옛사람들이 이룩한 수많은 창조와 발명을 다채롭고 생동감 넘치는 모습으로 생생하게 보여준다.

 

 

편집자가 전하는 말...

 

한자는 인간의 역사, 삶과 함께 진화한다.

태초의 문자가 있었다.

상형한자!

그 안에 숨은 과학을 찾아서...

 

고대문자, 곧 상형문자에서 과학문명의 진화과정을 추적해나가는 책이다. 한자는 초에 인류와 함께 발생하여 지금까지도 성장하고 발전하는 문자이다. 문명의 시작점에 자리한 상형문자를 추적하다보면 인간이 지금의 인간으로 진화하는데 필요했던 도구들의 변화과정까지도 쉽게 알아낼 수가 있다. 문자 안에서 수렵 문화와 농경문화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했던 모든 것들을 이 책에서는 한자라는 잣대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60여개의 한자를 중심으로 인류가 사용했던 도구들을 과학적 시각에서 절묘하게 결합해 설명해나간다. 우리가 흔히 보아오던 한자들이 과학적 경험에 의한 산물이며, 과학적 지식들을 축적하는 과정의 기록이라는 점을 자연스레 알게 된다. ‘한자’라는 문자의 시작인 상형문자로 시작된 뿌리를 타고 올라가다보면 어느덧 현재라는 세상이 코앞에 번성하고 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한자 속 과학이야기’, 이 책을 읽어 나가다보면 어느덧 인류문명에 관한 역사서를 한 권 읽은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책이다.

 

 

본문 중에서...

 

宮자를 들먹이면 반사적으로 고대의 화려한 궁전과 웅장한 건축물이 떠오른다. 그러나 맨 처음 宮 자가 기둥에 겨우 지붕을 얹은 집을 뜻하는 말이었다면 믿을 수 있는가?

반혈거 가옥은 발전을 거듭해 점차 벽이 생겨났고 나무를 뼈대로 흙을 바른 벽이 등장했다. 바로 지상 건축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수직으로 세워진 벽, 비스듬히 얹어진 지붕은 이후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가 되었다. 벽 위에 지붕을 얹는 형태는 지면 위에 지붕을 얹는 반혈거 가옥보다 높아지고 또 공간도 넓다. 하나라 때에 이르기까지 첨단 건축 기술로 여겨졌다.

고대 사람들은 땅 위의 지붕이 익숙했기에 지붕이 벽 위에 얹어진 것을 보고 낯설게 느껴 위와 같은 기록을 하고 그러한 집을 宮이라 불렀다.

-‘궁(宮) 자에서 발견하는 고대 초기의 건축’ 중에서

 

 

 

 

지은이 다이우싼(戴吾三)

 

청화(淸華)대학 과학 기술사 고문헌 연구소 교수이다. 주로 과학 기술사와 고문헌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대 과학 기술 속에 반영된 고사성어와 한자에 대해 지속적인 성과물을 내고 있다. 그의 이러한 연구 서적들은 지식과 흥미를 동시에 전해 주는 문화와 학술적 향기를 지닌 서적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고사성어 속 과학(成語中的古代科技) 』『고공기도설(考工記圖設)』 등이 있다.

 

옮긴이 천수현

 

한양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동시통역대학원

現 프리랜서 통번역사

 

목차

 

지은이의 말 고대문자에 담긴 인류의 지혜_ 5

옮긴이의 말 한자에 얽힌 사연 을 듣는 재미_ 8

우물 정 과 그 기원_ 15

쟁기 뢰 와 파생어_ 21

농사 농 과 새벽 신 _ 28

돼지 시 와 돼지 키우기_ 37

소 우 로 알아보는 소의 사육_ 43

양 양 자로 이야기하는 양 길들이기_ 48

말 마 로 알아보는 고대의 말 사육_ 52

뽕나무 상 자에서 배우는 고대의 뽕나무 재배_ 65

누에 잠 으로 이야기하는 고대의 양잠_ 70

가는 실 사 자와 관련 한자_ 75

오로지 전 자의 진짜 의미는 _ 87

돌 석 자로 이야기하는 석기의 제작_ 91

칼 도 자와 관련 글자_ 96

질그릇 도 와 토기의 탄생_ 101

병 호 의 변화 과정_ 119

뿔 각 그리고 관련된 글자_ 125

새롭게 거듭난 글자 그물 망 _ 143

수레 차 로 알아보는 수레의 구조_ 148

돛 범 에 담긴 고대 범선_ 163

불 화 자와 인류 최초의 불_ 169

쇠 철 과 제철 기술의 시작_ 179

거푸집이란 무엇인가 _ 183

활궁이 여러 번 꺾인 이유 _ 202

시를 통해 고대의 화살촉을 말하다_ 207

궁 자에서 발견하는 고대 초기의 건축_ 224

와 자의 출현과 기와의 제작_ 229

소금과 고대의 제염 기술_ 254

경쇠 경 과 제작법_ 265

붓 필 자로 알아보는 고대 붓 제조 기술_ 277

책 책冊자로 알아보는 죽간의 제작_ 287

종이 지 자의 등장과 제지 기술의 혁명_ 292

병들 녁 과 고대의 질병 기록_ 303

성할 은 자로 알아보는 고대의 치료법_ 308

무지개 관찰에서 해석까지_ 3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