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겨듣는 曰(왈)

[김예슬] 고려대 자퇴대자보 전문

by 발비(發飛) 2010. 3. 13.

 

 

 

험한 세상을 살았으니 꽃을 피우시길 바란다고 하시던 스님의 말이 다시 여운이 된다.

 

명문이라고 말하는 고려대, 그 중에서도 경영학과를 다니는 학생은

세상에다 대고 이것이냐고...

질문한다.

 

며칠을 사이에 두고 엄청난 바람이 불었다.

정리해고...,

 

신문에서는 금호타이어 직원은 새벽 다섯시에 해고 통고를 문자메시지로 받았다고 기사로 떴고,

나와 친한 후배는 계약직 직원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기약없는 휴직을 통고 받았다고 메신저로 황당한 말을 전했고,

......

나도 같은 통고를 받고...아직도 그 말을 꿀꺽 삼키고 있는 중이고,

 

내가 들은 바로는 이런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을 두른 부당 해고는 일부 부도덕한 기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다.

한 때 세상에서는 노조라는 것이 있어서 함부로 할 수 없었던 날도 있었다. 그것이 '과거'라는 사실은 정말 아이러니지..

그런데 지금 그런 시간으로 부터 십년이 더 넘은 시간이 지났는데..

이것이 역사의 발전인가 퇴보인가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통고를 받고도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다만 개인적인 문제만 생각했었다.

그러다 대학생의 자퇴문을 읽고는... 망치로 한 대 맞은 듯한 느낌이다.

균열이 필요한 것이다.

이미 나를 포함한 사회는 아닌 것에 대해 무감각해진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다.

부도덕하고, 비인간적인 것에 몸을 담그고 있어 거기에서 나는 악취를 맡지도 못하는 불능이 되어버린 것이다.

 

질문을 한다.

너는 지금, 너의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었느냐고..

또 질문을 한다.

너는 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느냐고..

또 질문을 한다.

무엇이 너를... 질문조차 하지 않게 만들었냐고..

 

난 아래에 있는 대자보를 읽고 질문을 했다.

내게... 왜 그렇게 되었느냐고.. 어떻게 받아들인거냐고.. 낱낱이 그 과정을 살펴봐야겠다고...

 

기도하는 자여,

신을 향해서가 아니라 인간을 향해서 몸을 돌려라.

신이 만든 인간이 인간으로 살아가지 못하는 세상에 눈을 돌려라.

신은 영원히 건재할 것이니, 그냥 내버려두고...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 둔다.

G세대로 '빛나거나' 88만원 세대로 '빚내거나',

그 양극화의 틈새에서 불안한 줄타기를 하는 20대.

그저 무언가 잘못된 것 같지만 어쩔 수 없다는 불안과

좌절감에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20대.

그 20대의 한 가운데에서

다른 길은 이것밖에 없다는 마지막 남은 믿음으로.

 

 

이제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것은 나의 이야기이지만 나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나는 25년 동안 경주마처럼 길고 긴 트랙을 질주해왔다.

우수한 경주마로, 함께 트랙을 질주하는

무수한 친구들을 제치고 넘어뜨린 것을 기뻐하면서.

나를 앞질러 달려가는 친구들 때문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소위 '명문대 입학'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더 거세게 나를 채찍질해봐도

다리 힘이 빠지고 심장이 뛰지 않는다.

 

 

지금 나는 멈춰 서서 이 경주 트랙을 바라보고 있다.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취업'이라는 두 번째 관문을 통과시켜 줄 자격증 꾸러미가 보인다.

너의 자격증 앞에 나의 자격증이 우월하고

또 다른 너의 자격증 앞에 나의 자격증이 무력하고,

그리하여 새로운 자격증을 향한 경쟁 질주가 다시 시작될 것이다.

이제서야 나는 알아차렸다.

내가 달리고 있는 곳이 끝이 없는 트랙임을.

앞서 간다 해도 영원히 초원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트랙임을.

 

 

이제 나의 적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 또한 나의 적이지만 나만의 적은 아닐 것이다.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임을 마주하고 있다.

대학은 글로벌 자본과 대기업에 가장 효율적으로

'부품'을 공급하는 하청업체가 되어 내 이마에 바코드를 새긴다.

 

 

국가는 다시 대학의 하청업체가 되어,

의무교육이라는 이름으로 12년간 규격화된 인간제품을 만들어 올려 보낸다.

기업은 더 비싼 가격표를 가진 자만이 피라미드 위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온갖 새로운 자격증을 요구한다.

이 변화 빠른 시대에 10년을 채 써먹을 수 없어

낡아 버려지는 우리들은 또 대학원에, 유학에, 전문과정에 돌입한다.

고비용 저수익의 악순환은 영영 끝나지 않는다.

'세계를 무대로 너의 능력만큼 자유하리라'는

세계화, 민주화, 개인화의 넘치는 자유의 시대는 곧 자격증의 시대가 되어버렸다.

졸업장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자격증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학습된 두려움과 불안은 다시 우리를 그 앞에 무릎 꿇린다.

 


생각할 틈도, 돌아볼 틈도 주지 않겠다는 듯이 또 다른 거짓 희망이 날아든다.

교육이 문제다, 대학이 문제다라고 말하는 생각 있는 이들조차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성공해서 세상을 바꾸는 '룰러'가 되어라”,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해. 나는 너를 응원한다”,

“너희의 권리를 주장해. 짱돌이라도 들고 나서!”

그리고 칼날처럼 덧붙여지는 한 줄,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그 결과가 무엇인지는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큰 배움도 큰 물음도 없는 '대학大學'없는 대학에서,

나는 누구인지, 왜 사는지, 무엇이 진리인지 물을 수 없었다.

우정도 낭만도 사제간의 믿음도 찾을 수 없었다.

가장 순수한 시절 불의에 대한 저항도 꿈꿀 수 없었다.

아니, 이런 건 잊은 지 오래여도 좋다.

그런데 이 모두를 포기하고 바쳐 돌아온 결과는 정말 무엇이었는가.

우리들 20대는 끝없는 투자 대비 수익이 나오지 않는

'적자세대'가 되어 부모 앞에 죄송하다.

 

젊은 놈이 제 손으로 자기 밥을 벌지 못해 무력하다.

스무 살이 되어서도 내가 뭘 하고 싶은지 모르고 꿈을 찾는 게 꿈이어서 억울하다.

이대로 언제까지 쫓아가야 하는지 불안하기만 우리 젊음이 서글프다.

 


나는 대학과 기업과 국가, 그리고 대학에서 답을 찾으라는 그들의 큰 탓을 묻는다.

깊은 분노로. 그러나 동시에 그들의 유지자가 되었던 내 작은 탓을 묻는다.

깊은 슬픔으로. '공부만 잘하면' 모든 것을 용서받고,

경쟁에서 이기는 능력만을 키우며 나를 값비싼 상품으로 가공해온

내가 체제를 떠받치고 있었음을 고백할 수 밖에 없다.

이 시대에 가장 위악한 것 중에 하나가 졸업장 인생인 나, 나 자신임을 고백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더 많이 쌓기만 하다가 내 삶이 한번 다 꽃피지도 못하고 시들어 버리기 전에.

쓸모 있는 상품으로 '간택'되지 않고 쓸모 없는 인간의 길을 '선택'하기 위해.

이제 나에게는 이것들을 가질 자유보다는 이것들로부터의 자유가 더 필요하다.

자유의 대가로 나는 길을 잃을 것이고 도전에 부딪힐 것이고 상처 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삶이기에, 삶의 목적인 삶 그 자체를 지금 바로 살기 위해

나는 탈주하고 저항하련다.

생각한 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고, 행동한 대로 살아내겠다는 용기를 내련다.

 


학비 마련을 위해 고된 노동을 하고 계신 부모님이 눈 앞을 가린다.

'죄송합니다, 이 때를 잃어버리면 평생 나를 찾지 못하고 살 것만 같습니다.'

많은 말들을 눈물로 삼키며 봄이 오는 하늘을 향해 깊고 크게 숨을 쉰다.

 


이제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덕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작지만 균열은 시작되었다.

동시에 대학을 버리고 진정한 大學生의 첫발을 내딛는 한 인간이 태어난다.

이제 내가 거부한 것들과의 다음 싸움을 앞에 두고 나는 말한다.

그래, “누가 더 강한지는 두고 볼 일이다”.

 

 

2010년 3월 10일 김예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자퇴하며

 

 

'새겨듣는 曰(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명관] 균형 잡힌 시각  (0) 2010.05.19
유시민과 신념  (0) 2010.05.15
[법정스님] 봄날은 간다  (0) 2010.03.13
그를 위안하는 한 떨기 국화  (0) 2010.03.09
[강영숙] 스쿠터활용법 중에서  (0) 2009.10.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