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히는대로 詩

[김중식] 食堂에 딸린 房 한 칸

by 발비(發飛) 2008. 6. 30.

食堂에 딸린 房 한 칸

 

김중식

 

밤늦게 귀가할 때마다 나는 세상의 끝에 대해

끝까지 간 의지와 끝까지 간 삶과 그 삶의

사람들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귀가할 때마다

하루 열여섯 시간의 노동을 하는 어머니의 육체와

동시 상영관 두 군데를 죽치고 돌아온 내 피로의

끝을 보게 된다 돈 한 푼 없이 대낮에 귀가할 때면

큰 길이 뚫여있어도 사방이 막다른 골목이다

 

엘로우 하우스 33호 붉은 벽돌 건물이 바로 집 앞인데

거기보다도 우리집이 더 끝이라는 생각이 든다

거기로 들어가는 사내들보다 우리집으로 들어가는 사내들이

더 허기져 보이고 거기에 진열된 여자들보다 우리집의

여자들이 더 지친 표정을 짓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어머니 대신 내가 영계백숙 음식 배달을 나갔을 때

나 보고는 나보다도 수줍음 타는 아가씨는 명순씨

紅燈 유리房 속에 한복 입고 앉은 모습은 마네킹같고

불란서 인형 같아서 내 색시 해도 괜찮겠다 싶더니만

반바지 입고 소풍 갈 때 보니까 이건 순 어린애에다

상꺼풀 수술 자국이 터진 만두 같은 명순씨가 지저귀며

유곽 골목을 나서는 발걸음을 지켜보면 밖에 나가서 연애할 때

우린 식당에 딸린 방 한 칸에 사는 가난뱅이라고

경쾌하게 말 못하는 내가 더 끝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제일 무서워하는 사람들은 강원연탄 노조원들이다

내가 말을 걸어본 지 몇 년째 되는 우리 아버지에게

아버님이라 부르고 용돈 탈 때만 말을 거는 어머니에게

어머님이라 부르는 놈들은 나보다도 우리 가정에 대해

가계에 대해 소상히 알고 있다 하루는 놈들이, 일부러

날보고는 뒤돌아서서 내게 들리는 목소리로, 일부러

대학씩이나 나온 녀석이 놀고 먹구 있다고, 기생충

버러지 같은 놈이라고 상철르 준 적이 있는, 잔인한 놈들

지네들 공장에서 날아오는 연탄 가루때문에 우리집 빨래가

햇빛  한 번 못 쬐고 방구석 선풍기 바람에 말려진다는 걸

모르고, 놀구 먹기 때문에 내 살이 바짝바짝 마른다는 걸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내심 투덜거렸지만 할 말은

어떤 식으로든 다 하고 싸울 일은 투쟁해서 쟁취하는

그들에 비하면 그저 세상에 주눅들어 굽은 어깨

세상에 대한 욕을 독백으로 처리하는 내가 더 끝

절정은 아니고 없는 敵을 만들어 槍을 들고 달겨들어야만

긴장이 유지되는 내가 더 고단한 삶의 끝에 있다는 생각

 

집으로 들어서는 길목은  쓰레기 하치장이어서 여자를

만나고 귀가하는 날이면 그 길이 여동생의 연애를

얼마나 짜증나게 했는지, 집을 바래다주겠다는 연인의

호의를 어떻게 거절했는지, 그래서 그 친구와 어떻게

멀어지게 되었는지 생각하게 된다 눈물을 꾹 참으며

아버지와 오빠의 등 뒤에서 스타킹을 걷어 올려야하고

이불 속에서 뒤척이며 속옷을 갈아입어야 하는 여동생들을

생각하게 된다 보름 전쯤 식구들 가슴 위로 쥐가 돌아다녔고

모두 깨어 밤새도록 장롱을 들어내고 벽지를 찢어 발기며

쥐를 잡을 때 밖에 나가서 울고 들어온 막내의 울분에 대해

울음으로써 세상을 견뎌내고야 마는 여자들의 인내에 대해

단칸방에 살면서 근친상간  한 번 없는 安東金家의 저력에 대해

 

아침 녘 밥손님들이 들이닥치기 전에 제각기 직장으로

公園으로 술집으로 뿔뿔이 흩어지는 탈출의 나날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귀가할 때 혹 知人이라도 방문해 있으며

난 막다른 골목 담을 넘어 넘고 넘어 멀리까지 귀양 떠난다

 

큰 도로로 나가면 철로가 있고 내가 사랑하는 기차가

있다 가끔씩 그 철로의 끝에서 다른 끝까지 처연하게

걸어다니는데 철로의 양끝은 흙 속에 묻혀 있다 길의

무덤을 나는 사랑한다 항구에서 창고까지만 이어진

짧은 길의 운명을 나는 사랑하며 화물트럭과 맞부딪치면

여자처럼 드러눕는 기관차를 나는 사람하는 것이며

뛰는 사람보다 더디게 기차를 나는 사랑한다

나를 닮아 있거나 내가 닮아 있는 힘 약한 사물을 나는

사랑한다 철로의 무덤 너머엔 사랑하는 西海가 있고

더 멀리 가면 中國이 있고 더더 멀리 가면 印度와

유럽과 태평양과 속초가 있어 더더더 멀리 가면

우리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세상의 끝에 있는 집

내가 무수히 떠났으되 결국은 돌아오게 된, 눈물겨운.

 

 

다시 인식의 힘을 부르짖게 되는 순간

인식의 순간, 우리가 가지게 되는 감정은 안도에 가깝겠지.

상황을 인식한 뒤에 오는 평화때문에 말이지.

 

김중식의 '식당에 딸린 방 한 칸'은 비루한 우리의 삶을 인식하게 한다.

인식한다고 달라지는 것이 뭐냐고 물으신다면,

인식을 하고나면 깊은 침잠이 있은 후에 오는 고요함이 기다릴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인식이라는 것은 대부분은 그 운동법칙에 있어서 하향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식을 한다고 해서 좋을 일은 없다.

잠시 딴 소리를 하자면, 발견이라는 것이 있지.

문득 보니 내가 이렇더라는 '발견' 그것은 제법 상향적인 구조로.. 좋은 일은 이쪽!

발견이라는 것도 인식의 한 종류일터이지만. 이것은 순간적인 인식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앞서 말한 인식이라는 것은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내가 이러 하고 이런 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랬던 것이야.
결국 이런 것이야 하고 인정하게 되는 것.

내 삶은 결코 비루할 일이 없어.

절대 그런 것은 아닐 거야 하고 우긴 다음에도 계속적으로 오는 이상징후를 파악하게 된다는 것이지.

난 세상의 끝에서 산다는 것

나보다 더 비루하게 보이는 것보다도 내가 사는 곳이 더 비루하다고 인식되는 그 곳.

그 곳은 내 출발점이었으나

그 곳에서조차 뿌리를 내릴 수 없다는 것을 인식, 하지만 그 곳이 아니면 또 어쩌지도 못하는 것이라는 것

세상의 끝에서 살아본 사람이면

세상을 아무리 뺑뺑 돌아도 세상의 끝에서만 맴맴 도는 자신을 보는 것.

 

인식의 힘... 이것은 최승호 시인의 시에서 나온 말... 강하게 내게로 온 말

김중식 시인은 참 길게도 말을 했다.

하지만 그 긴 말은

 

세상의 끝에 있는 집

내가 무수히 떠났으되 결국은 돌아오게 된, 눈물겨운.

 

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려고 스스로에게 타이르는 시간이라는 것.

이 시를 읽는 나도 그것을 받아들이는데 이 시의 길이만큼의 시간이 필요하다.

길게 찬찬히 타이르지 않으면 절대로 받아들이기 싫은 그 것.

 

 

 

 

 

'읽히는대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승호] 아무 일 없었던 나  (0) 2008.07.07
[박재삼] 신록을 보며  (0) 2008.07.07
[최승호] 쌍봉낙타  (0) 2008.06.27
[최승호] 별똥별  (0) 2008.06.26
[최승호] 낙타가 죽으면  (0) 2008.06.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