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
조양래
깊은 밤 머리 어깨 눈을 털고 떨며 다가서니, 무지
개미술학원 도레미피아노학원 북경반점 뚱뚱이족발 아
가방 청과 치킨 야식 그림의 떡 그 눈길에 닳고 닮은
스티커 어지러운 현관문 201호, 들어서면 바닥난 간장
병 낡은 싱크대 마른 프라이팬 털털대는 냉장고 주린
배에, 거기 밥상에 김치에, 세상에 달콤한 찬 밥 한 그
릇......
가을이다.
이제 곧 겨울이 될 것이다.
곧 겨울이 되면, 모질게도 추운 밤 낡은 연립 쇠현관문에는 온통 스티커들이 붙을 것이다.
겨울이 되면, 철현관문에는 따슨 집안에서 맛난 것 먹으라고 친철한 스티커들이 붙을 것이다.
추운 겨울밤,
현관을 들어서면서 매일 눈으로만 먹어, 결국 눈길에도 닮아 바래어가는 스티커를 뒤로 하고
냉골 방으로 들어서면,
......
맛나게 먹어야 하는 찬 밥에 김치에
그런 성찬 먹는 추운 겨울 저녁밥.
먹어야 산다.
그리 먹고도 살아야 한다면, 모두들 그렇게 말한다면 그리 먹고 살아야 한다.
얼마 전에 있었던 일
어제는 우리가 살던 옛집에 가 보았다
지하방 굴뚝엔 예처럼 김이 오르고
문을 열면 집나간 개가 뛰어 나올 것만 같았다
분명, 분명 그건 얼마 전에 있었던 일 이었다.
과거는
과거라는 것은 우리에게 무엇일까?
기억이라는 장치를 가지고 있는 우리는 기억회로를 작동시키며 과거를 생각한다.
기억이라는 장치가 작동할 때는 언제일까?
지금 내가 뭘 하는 지 잘 모를때 그때 기억이라는 장치가 작동하여,
넌 이런 사람이다. 하고 인식시켜주는 거지.
지금이 행복할 땐 사실 기억이라는 회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틈이 없어 기억할 틈이 없어서 회로는 잠정 휴업이다.
아무것도 알 수 없을때
현재 내가 있으면서 현재의 내가 인식되지 않을 때 현재의 나의 모습을 추적하기 위해
기억장치를 작동시킨다.
현재가 난해하면 할 수록 기억장치는 아주 먼 과거로 가야 한다.
1년전도 아니야
5년전도 아니야
그럼 더 오랜전으로 가봐. 현재 나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거야.... 그렇게 기억장치를 작동시킨다.
시인은 얼마 전에 있었던 일로 기억장치를 작동시켰다.
얼마 전?
얼마 전 이란 얼마 전 이라는 말일까?
5년?
10년?
20년?
아님 한 달?
시인은 얼마전 이라고 했다.
그의 얼마전은 현재의 그가 가고 싶은 곳이다.
아주 오랜 오랜 시간이 흘러간 그런 얼마 전이 아닐 거라고 우기고 싶다.
돌아갈 수 있는 그래도 무방한 그런 얼마 전이었음 좋겠다.
'읽히는대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희성] 첫고백 (0) | 2005.10.25 |
---|---|
[조명무] 꽃과 나비 (0) | 2005.10.25 |
[서정춘] 귀 (0) | 2005.10.22 |
[박명용] 부석사 외2 (0) | 2005.10.21 |
[신현정]바다에 관한 白書 (0) | 2005.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