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겨듣는 曰(왈)

[김중식] 내 문학의 적- 시를 쓰기 위한 절대시간

by 발비(發飛) 2007. 8. 8.

내 문학의 적- 시를 쓰기 위한 절대시간

 

김중식

 

   문학의 적이라니. ‘문학이란 뭔가’라는 질문과 같다. 그래야 문학의 적이 전면에 드러날 테니까. 게다가 나는 10여 년간 단 한 줄의 시도 쓰지 못했거나 않았던 전력이 있다. 무엇이 그렇게 만들었을까.

 

   내게 문학은 기쁨과 기록 사이에 있었다고 가까스로 말할 수 있을 뿐이다. 기쁨은 순수했고 기록은 불순했다. 기쁨은 가능한 것이었고 기록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 기쁨과 기록을 포기하게 만든 게 바로 내 문학의 적이 아니었을까.

 

   기쁨은 황홀경으로 나타났었다. 뇌를 금 가게 하는 한 줄기 섬광이 번쩍거릴 때 그랬다. 고개 숙여 마침표 하나 찍는 순간이라고 느꼈는데 집 밖에서 신문 떨어지는 소리와 일 나가는 사람의 발걸음 소리가 들릴 때 그러했다. 도박이 시간을 마약으로 변모(보들레르) 시킨다고 했던가. 시간이 농축돼 엑기스ㅡ 한 점으로 현현할 때 기뻤다. 그 기쁨을 만끽할 땐 시를 위해 순교도 가능하다는 낭만적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 기쁨을 앗아간 적은 밑바닥을 드러낸 재능이었다. 재능이란, 없는 재능을 쥐어짜는 열정의 다른 이름. 열정의 미달은 열정으로써만 덮어쓰기가 가능하다는 것 정도는 잘 알고 있었다. 잘 알면서도 모르는 체했었다.

 

   열정이 한순간에 식어버린 건 내가 내 시의 형식을 만들지 못했으며, 만들지 못하리라는 좌절검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내 시는 표절에 불과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몰입과 열바의 기쁨이 마구 방해받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밥벌이를 하면서는 재능에 대한 자의식마저 희박해졌다. 이것 역시 얄팍한 재능에 대한 잡아뗄 수 없는 증거다. 돌아서 눈 감으니 청춘의 8할을 묻어둔 곳이 그토록 쉽게 잊힐 줄이야.

 

   왜 다시 쓰는가. 새로운 기쁨을 느끼기 때문이다. 일단 눈앞의 적군 한 명을 물리친 형국이다. 이제 와 다시 생각하니 쓰는 게 재능이고 쓰는 과정이 재능이었다. 릴케가 조각가 로댕의 비서로 일할 때의 에피소드. "재능이란 무엇입니까? " 로댕은 간명하게 말했다." 아르바이트, 아르카이트. 아르바이트." 천하의 로댕과 릴케에게도 '작업, 작업, 작업." 이 재능의 동의어인 것을.

 

   믿기로 했다. 시는 재능으로 쓰는 게 아니라 쓰는 행위 자체가 재능이라고. 열정이 작업의 아들이지 그 역은 아니라고. 지난 10여 년 기자질을 하면서 남 이야기만 하다가 이제 나의 이야기를 쓰는 일이 즐겁다고. 그 시적 성취야 비참한 수준이지마 일단 내 글을 내 마음대로 쓴다는 게 기쁘다고. 그랬더니 황홀경이 예전에 비해 빈도는 현저히 즐었으나 강도는 만만치 않게 찾아오더라고.

 

   그러나 시간이 좀 흘러 시쓰는 행위 자체가 아니라 '나의 시'를 쓰고 싶다는 욕망이 강해진다면 모를 일이다. 또다시 재능에 대해 절망하게 될는지.

 

   시를 통해 나와 시대를 기록하겠다는 발상은 터무니없는 것이었다. 미래를 포기한 채 삶과 생활과 세상을 얕잡다 보던 청춘 시절의 시론이었다. 기록으로서의 시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못하겠다. 다만 아무 말 못한 채 앞으로 할 말 다 하겠다는 느낌이 든다.

 

   내 시의 적은 바로 시를 쓰고 생각하는 절대시간의 감소였다. 재능과 열정은 작업시간에 비례한다. 작업시간의 확보를 위해 조절하는 용기와 절제야말로 내 시의 적을 무리칠 무기라고 생각한다.

 

배가 너무 많이 고팠다.

아침은 원래 거의 먹지 않는 편이고, 점심은 오후에 서점에 갈 일이 있으니... 나간 김에 먹을 작정이었다.

그래서 그냥 관상학 교정을 계속 보았다.- 참 많은 사람의 얼굴을 오늘도 떠올리며.

오후에 표지디자이너가 예상보다 좀 늦게 사무실에 오는 바람에 난 네시가 다 되어서야 사무실을 나갈 수 있었다.

비가 주룩 오다가 뚝 멈추다 하는 서울의 한 복판을 가로 질러 대학로 이음으로 갔다.

헌책을 몇 권 구해야 해서...

(다행히 너무 멋진 책... 을 원하는 책... 을 잔뜩 사들고 사무실로 다시)

책들때문에 흥분한 나머지 먹는 것을 또 잊었다.

 

저녁 7시....

배가 너무 고팠다.

배가 고프다고 생각하는 순간,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배가 고팠다.

오징어덧밥을 시켜놓고 음식이 오기를 기다리는데, 기다리는 시간은 너무 긴데...

시간이 없어 건너 뛴 끼니때문에 괴로워 거의 이성을 잃을 지경이었는데,

 

잠시 들른 옆 사무실에서 빌린 '현대문학'이라는 문학잡지에 실린 김중식 시인의 산문을 발견했다.

 

이것이구나!

내가 싸워야 할 적 또한 절대시간이라는 사실.

 

여러가지 목적으로 시간이 쓰인다.

시인은 문학을 위한 절대 시간이며,

난 업무를 하기 위한 절대시간과 좀 욕심을 낸다면 나로서 살 수 있는 절대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사수하기 위해 누군가와 싸워야 한다.

나를 위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시간이며, 그 아쉬움마저 내어줘도 없는 시간 속에 시간을 그리워한다.

이건 그가 인용한 것처럼 재능이라는 문제일 것이다.

그는 시인으로서의 재능을 이야기하면서,

재능이란 무엇을 하고 싶은데 힘들이지 않고 넘쳐나오지 않을 때 필요한 것이 능력이다.

 

그런데, 로뎅의 말을 빌어 그것은 그저 '일' 일뿐이라고 말한다.

나의 재능은 나의 일에서 출발해서 일로서 강화된다고 이해된다.

 

일이라는 것이 무엇이지?

난 이때의 일이란 노동이 아니라, 그것에 기울인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원하는 곳에 원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분배하였는가? 이렇게 생각해보면, 지금의 모든 결과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아무것도 손에 쥐지 못한 성근 삶.

성글어서 어떤 것도 닮아지지 않는 삶.

 

배가 너무 고파서 정신이 혼미해지려 할 때 이 글을 읽었다.

혼미한 정신에 난 교정지를 덮고 이 글을 타이핑했다. 한 자씩 타이핑해가는 데 정신이 맑아진다.

 

무엇을 한다고 정신이 없을만큼 끼니를 거르느냐 이거지.

일정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일정하게 에너지를 나눠쓰고, 가끔은 비축하기도 하고, 또 가끔은 다른 곳에 쓸 에너지를 아껴 또 다른 곳으로 보충해주기도 하고... 그렇게 질서가 있어야만 대책이 있음을....

 

그렇다면 나의 적은 무질서이다.

타이핑이 끝나갈즈음 오징어 덧밥이 왔고, 에너지 생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 천천히 꼭꼭 씹어서 잘 먹었다.

제때 잘 찾아먹은 끼니처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절대 허겁지겁하지 않고...

 

문장, 오늘 난 문장이라는 것이 참 좋다.

남의 말들로 행복해지는 나!

 

 

 

 

 

 

 

 

댓글